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산시 버스 목록

덤프버전 :

||



1. 개요
2. 관내 운행 회사
3. 특징
4. 종류별 노선 일람
4.3.1. 시흥시 경유 노선
4.4. 시외버스[1]
4.5. 공항버스
4.6. 폐선된 노선
5. 통과 노선 운행사
6. 차량


1. 개요[편집]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 중, 안산시에서 관리하는 노선들의 목록.


2. 관내 운행 회사[편집]



3. 특징[편집]


안산시는 시외/고속버스를 제외한 모든 시내버스를 경원여객과 자회사인 태화상운, 써클라인이 독점 운행하고 있다. 이는 관내 3개 회사가 모두 흑자를 기록하게 된 주된 이유이다. 이러한 독점 운영 탓인지 대부분이 굴곡 노선이고, 일부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 동일 노선 버스가 한 정류장에 정차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인다. 또한 52번이나 77번같은 주요 노선을 제외하면 하나같이 배차간격이 지나치게 길어졌다. 특히, 코로나19와 도 내 타 업체와 비교해도 낮은 처우로 인한 기사 이탈 때문에[2] 배차간격 악화 문제는 아직도 현재진행중이다.

안산시 계획 도로망과 다르게 61번, 77번 버스와 순환버스 등을 제외하고는 경원여객 계열의 여러 버스 노선은 시화지구 혹은 반월공단에서 시작해서 경유 구간인 안산역 간 화랑로 구간 (안산역-라성호텔-시청-예술인아파트) 그리고 월피동 (수암, 여의도) 방면, 본오동 (반월, 수원) 방면 등, 안산시내를 X자형 망의 형태로 연결하는 형태로 거의 40년 정도 운행되고 있다. 다만 안산시가 2000년대부터 장기적으로 경원여객 대다수 버스노선의 단점을 보완하는 순환버스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으며, 2021년에는 안산도심 어디든지 10분내로 전철역 이동 할수 있게 순환버스망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현재는 어느 정도 완성하고 있는 중이다. 501번 등의 노선에 준공영제를 도입해서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 순환버스는 경원여객 계열사인 써클라인에서 운영하고 있다. 안산 도심순환버스는 안산시 자체 도색이 적용되고, 각 권역과 주요 전철역 중심으로 운영하며, 새벽 2시까지 운행하는 N으로 시작하는 심야 부엉이버스도 운행 중이다.

안산시에는 마을버스가 없다. 진보운수와 금강운수가 한때 마을버스를 운행하였으나, 업체의 파행 운행에 따라 경원여객과 태화상운이 인수해 시내버스 노선으로 편입하였다. 이때 기존 마을버스 번호에 -1을 붙여서 전환하였고(1-1, 2-1, 3-1, 4-1, 6-1, 7-1, 8-1), 연이은 노선/번호 변경[3] 및 폐선[4]으로 4-1, 8-1번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시내버스 안내방송은 온더애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60A번, 60B번, 80A번, 80B번, 737번 버스는 로카모빌리티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여담이지만 일부 안내방송에서는 영어 뿐만 아니라 중국어로도 나온다.

한편 안산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해서 갈 수 있는 서울 지역은 여의도/강남역이 한계이다. 영등포와 여의도 방향 노선은 안산신도시 형성 전인 1985년부터 시외버스로 시작하여 많은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300번, 320번 좌석버스와 5609번 직행좌석버스가 있다. 강남역 방향의 경우 2010년대 전에는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700번을 이용해야 했으며, 2010년 고잔신도시가 형성된 시점부터는 직행좌석버스가 신설되어 고잔신도시와 한양대, 상록수 지역에서 강남으로 오갈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서울 도심간의 연계는 서울시의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에 맞추어 2004년 3월에 그 해 7월 1일부터 안산 - 광화문 간 광역버스를 운행한다는 계획이 있었으나 서울시버스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어서 사실상 그 노선의 입찰이 무기한 연기되고, 그 이후로 감감 무소식이 되었다. 참고로 안산-광화문 도심 버스노선 계획과 더불어 원래 300번 좌석버스였던 안산-여의도 간의 노선을 9601번 서울급행버스로 개편된 노선의 경우도 원래는 다모아버스와 경원여객이 공동배차 운행을 계획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경원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기사. 또한 잠실역강변역을 기점으로 하는 시내버스 노선이 하나도 없고, 시외버스 8147 노선만 강변역 기점, 잠실역 경유로 운행 중이다.

안산시내버스의 기점 중 하나인 시흥시 시화지구과 수원역 연계를 제외하고, 인근 시흥시, 안양시, 수원시 등 다른 수도권 도시들에 비하면 시계 외로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하다.그에 따라서 안산-부천, 안산-광명 등의 세로축 버스 교통망도 빈약한 편이다. 거기다가 4호선(군포,안양), 수인선 (인천,영통,성남) 서해선(부천) 수도권광역전철망이 버스에 비해서 빠르게 연계 되었기에 시외 연계 버스망이 경쟁 상대가 전혀 되지 못하게 되었다. 다만 버스로써 시외 연계가 빠르고 편한 이동이 가능한 구간은 안산 한양대, 상록수역수원역을 잇는 경원여객의 7070번(구. 707번)과 110번이 있으며, 수원 성우운수의 9090(구. 909)번이 있다.

강남 방면으로는 강변역동서울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잠실역을 거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종점인 안산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하는 R8147 노선이 있다.

바로 인접한 시흥시와는 번호 체계를 어느 정도 공유하는데, 시흥시 시내버스 대다수를 운행하는 시흥교통이 안산 독점의 경원여객 계열사이고 경원여객의 시흥 노선을 넘겨받으면서 시작하였기 때문에 번호 체계가 비슷하다. 20번대는 1번에서 전환된 20번, 22번만 안산시 관할이며 나머지 20번대 번호는 시흥시 노선에 할당된 것으로 보이며, 31번대(시흥 31, 31-3, 31-9 및 안산 31-7)은 부천남부역과 삼미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노선들이다. 그리고 3000번대 노선들은 안산/시흥 모두 여의도를 제외한 서울 방면 노선이며, 기점부[5]나 노선 분리/신설에 따라 번호를 조금씩 변형한 형태이다. 또한 5601에서 파생된 5600번대(시흥 5602, 5604 및 안산 5609)은 (출발지)-목감동-석수역-(서울시) 노선.

산업단지 경유 노선들의 항목에서 명칭 문제로 잦은 수정전쟁이 발생하였다.

2023년 4월 기준 안산시 시내버스 1, 2, 3위는 77번, 62번, 52번이다. 경기도 전체에서는 8, 17, 29위.


4. 종류별 노선 일람[편집]




4.1. 직행좌석버스[편집]


전 노선 경원여객에서 운행한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
110선부동와동ㆍ안산시청ㆍ안산터미널ㆍ한양대입구ㆍ상록수역ㆍ당수동ㆍ서수원터미널수원역25~50
300[휴]중앙역안산시청ㆍ단원구청ㆍ안산역ㆍ정왕동ㆍ시화방조제대부도주말 일 10회
707-1신안산대학교고잔신도시ㆍ한양대정문ㆍ상록수역ㆍ서수원터미널수원역1일 7회
3100원시역신안산대ㆍ호수동ㆍ한양대ㆍ상록수역ㆍ한세대학교ㆍ고천ㆍ서초역/양재역강남역20~60(일 26회)
3101원시역신안산대ㆍ호수동ㆍ한양대ㆍ상록수역ㆍ군포역ㆍ군포시청ㆍ서초역/양재역강남역20~40(일 29회)
5609송산그린시티사동푸르지오ㆍ자유센터ㆍ스타프라자ㆍ월피동ㆍ목감동ㆍ서해안선ㆍ구로디지털단지역여의도역15~60
7070반월공단안산역ㆍ안산시청ㆍ스타프라자ㆍ한양대입구ㆍ상록수역수원역20~40

4.2. 좌석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
301본오A사리역ㆍ상록수역ㆍ안산대ㆍ일동ㆍ부곡동ㆍ수암동ㆍ목감동ㆍ광명사거리ㆍ영등포역여의도환승센터40~100
320반월공단[6]안산역[7]ㆍ선부역ㆍ와동ㆍ월피동ㆍ부곡동ㆍ수암동ㆍ목감동ㆍ광명사거리ㆍ영등포여의도환승센터10~20

4.3. 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
2안산역초지역ㆍ공단본부ㆍ염색단지ㆍ원시역ㆍ반월공단경원여객20~40
3푸르지오6차이마트ㆍ양지고ㆍ중앙역ㆍ안산터미널ㆍ성포동ㆍ양상동입구ㆍ수암동안산초교25~65
(일 36/28회)
4-1본오A사동주유소ㆍ고려선원ㆍ상록구청ㆍ성안중ㆍ이동공원한대앞역20~60
6화정동화정초교ㆍ강서고ㆍ화랑초교ㆍ창동연립ㆍ안산문화예술의전당/단원구청ㆍ고잔역중앙역10~20
7[8]양상동성포중ㆍ다농사거리ㆍ중앙역ㆍ고잔고ㆍ한양대입구상록구청1일 10회
8안골마을황제Aㆍ양촌마을ㆍ인정Aㆍ반월농협ㆍ서해Aㆍ반월역삼천리마을40~50
8-1현대A황제Aㆍ양촌마을ㆍ인정Aㆍ반월농협ㆍ서해Aㆍ반월역삼천리마을15~20
9선부동달미역ㆍ와동체육공원ㆍ디미고ㆍ올림픽기념관ㆍ자유센터ㆍ안산시청중앙역25~35
9-1선부동원곡고ㆍ 땟골ㆍ선부2동ㆍ라프리모ㆍ단원구청ㆍ안산시청중앙역25~35
10중앙역안산문화광장ㆍ호수공원ㆍ해양중ㆍ송산그린시티새솔고15~30
(일 60/48회)
10-1상록수역성안중ㆍ한양대입구ㆍ한양대ERICA캠퍼스ㆍ경기테크노파크푸르지오6차15~30
13[9]원시역에코팜타운ㆍ대방노블랜드1차ㆍ금강펜테리움세영리첼25~60
16새솔고송산그린시티ㆍ그랑시티자이ㆍ정비단지4ㆍ동산고ㆍ사리역ㆍ태영A상록수역20~30
52반월공단안산역ㆍ시청ㆍ예술인Aㆍ홈플러스ㆍ한대앞역ㆍ상록수역본오A5~10
66[태][10]반월공단안산역ㆍ시청ㆍ예술인Aㆍ한대앞역ㆍ상록수역ㆍ본오동반월역평일 1회(편도)
70A
70B
[써]
선부역동명Aㆍ21세기병원ㆍ안산터미널ㆍ중앙역ㆍ고잔고ㆍ양지고ㆍ신안산대ㆍ초지역선부역25~40
71반월공단공단이마트ㆍ신안산대ㆍ법원ㆍ중앙역ㆍ상록구청ㆍ상록수역중앙병원30
71-1반월공단공단이마트ㆍ신안산대ㆍ법원ㆍ중앙역ㆍ동산교회ㆍ상록수역안산1대학1일 6회
77선부동차고지동명Aㆍ초지역ㆍ고잔고ㆍ중앙역ㆍ서울예대ㆍ시낭운동장부곡동5~10
80A
80B
[써]
안산해솔초등학교중앙역ㆍ한대앞역ㆍ상록수역ㆍ사리역안산갈대습지공원20~40
88본오A해양연구원ㆍ해양중ㆍ호수공원ㆍ25시광장ㆍ시청중앙역15~25
90삼천리마을반월역ㆍ팔곡동ㆍ도금단지ㆍ매송ICㆍ각골운동장ㆍ사리역상록수역30~50
(일 26회)
99-1본오동종점상록수역ㆍ부곡동ㆍ중앙역ㆍ고잔역ㆍ고잔이마트ㆍ사동푸르지오ㆍ송산그린시티새솔고10~15
101반월공단안산역ㆍ군자주공Aㆍ와동ㆍ중앙역ㆍ상록수역본오동6~12
310[11]상록수역각골운동장ㆍ야목리ㆍ비봉면ㆍ양노리ㆍ남양사거리ㆍ화성시청대광아파트30~60
500고잔역초지중ㆍ고잔이마트ㆍ염색단지ㆍ반월공단ㆍ시화MTV경원여객20~40
501A
501B
반월공단초지역ㆍ초지시장ㆍ원곡중ㆍ동명Aㆍ석수골ㆍ원곡고ㆍ안산역반월공단50~60
511(A/B)반월공단안산역ㆍ동명Aㆍ선부동(순환)달미역15~20
727[태]남4리대남초ㆍ상동ㆍ북동3거리ㆍ대부소방서ㆍ대동초남4리1일 3회
727-1[태]남2리대남초ㆍ상동ㆍ북동3거리ㆍ대부소방서ㆍ대동초남2리1일 3회
737[태]전곡항탄도ㆍ바다향기수목원ㆍ대동초ㆍ상동ㆍ구봉도방아머리선착장120~150


4.3.1. 시흥시 경유 노선[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
5반월공단서울우유ㆍ신길온천역ㆍ도일시장ㆍ안산역ㆍ신길초교ㆍ서울우유반월공단1일 11회[<방향]
20[12]반월공단해봉로ㆍ안산역ㆍ군자동ㆍ능곡동시흥시청20~45
22시화공단시화이마트ㆍ안산역ㆍ중앙동ㆍ상록수역ㆍ본오동반월동10~15
30시화공단정왕역ㆍ거모동ㆍ도일시장ㆍ안산역ㆍ예술인A월피동40
30-2오이도오이도역ㆍ시화농협ㆍ안산역ㆍ예술인Aㆍ부곡동ㆍ목감지구목감중심상업지구15~20
31-7[OUT]오금동(산본)수리산역ㆍ금정역ㆍ안양1번가ㆍ목감동ㆍ신천동ㆍ소사역부천역8~12[13]
34월곶거모동ㆍ도일시장ㆍ안산역ㆍ선부고ㆍ동명Aㆍ수정한양A와동주민센터1일 13회(60~80분)
38[OUT]부천역소사동ㆍ여우고개ㆍ신천동ㆍ삼미시장ㆍ소래고매화동8~15
50푸르지오6차중앙역ㆍ성포주공아파트ㆍ월피동ㆍ부곡동ㆍ수암동ㆍ목감동광명역30~60
55본오동상록수역ㆍ상록구청ㆍ고잔공원ㆍ신안산대ㆍ안산역ㆍ시화이마트시화공단6~10
61반월공단안산역ㆍ도일시장ㆍ시흥시청ㆍ신천동ㆍ부천역ㆍ부천시청부천터미널14~30
62본오동사1동ㆍ성안고ㆍ예술인Aㆍ시청ㆍ안산역ㆍ정왕동ㆍ오이도역배곧신도시5~10
76본오동상록수역ㆍ일동ㆍ중앙역ㆍ고잔공원ㆍ안산역ㆍ도일시장거모동1일 9회
98오이도시화.반월공단ㆍ안산역ㆍ동명Aㆍ와동ㆍ고잔역ㆍ고잔이마트ㆍ푸르지오6차그랑시티자이20~30
99시화공단정왕동ㆍ안산역ㆍ예술인Aㆍ상록수역ㆍ본오동ㆍ반월역삼천리마을30~50
123[태]세영리첼사동푸르지오ㆍ중앙역ㆍ안산역ㆍ오이도역ㆍ시화방조제ㆍ대부도ㆍ선감도탄도20~30
123-1[태]세영리첼사동푸르지오ㆍ중앙역ㆍ안산역ㆍ동남Aㆍ시화방조제ㆍ대부도ㆍ선감도탄도일 10/11회
125[써]시화단지시화이마트ㆍ안산역ㆍ동명Aㆍ중앙동ㆍ한대앞역ㆍ상록수역본오동5~8
350안양호계동안양1번가ㆍ목감동ㆍ수암동ㆍ부곡동ㆍ시청ㆍ안산역ㆍ시화산단오이도20~25


4.4. 시외버스[14][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수업체
R700시화단지안산역ㆍ라성호텔ㆍ상록수역ㆍ당수동ㆍ서초역ㆍ교대역강남역40~60선진고속
R700-1안산역라성호텔ㆍ상록수역ㆍ당수동ㆍ서초역ㆍ교대역강남역40~60선진고속
R737수원터미널웃거리ㆍ상록수역안산역ㆍ시화지구ㆍ월곶ㆍ부천역부평역운행중단선진고속
R8147동서울터미널잠실역ㆍ장지역ㆍ가락시장역ㆍ의왕TGㆍ당수동ㆍ상록수역안산터미널30경기고속
R8412이천터미널안산종합버스터미널경기고속
R8415안산터미널안중버스터미널경기고속
R8429부천터미널 소풍송내남부역ㆍ안산터미널[15]안양시외버스정류장(부천 방면)이천터미널경기고속
R8443용인터미널명지대입구ㆍ용인시청ㆍ강남대역ㆍ기흥역 ㆍ신갈 ㆍ광교중앙역안산터미널운행중단경남여객
R8459안산터미널상록수역ㆍ풍림Aㆍ공도ㆍ대림동산ㆍ중앙대학교ㆍ안성터미널동아방송예술대학교경기고속
R8467성남종합버스터미널모란역ㆍ군포시청ㆍ상록수역ㆍ한양대입구ㆍ안산시청ㆍ안산역시화종합버스터미널일 4회선진고속
R8814서수원터미널성균관대[16]ㆍ안산터미널인천터미널60대원고속
R8816서수원터미널성균관대ㆍ안산터미널인천터미널60선진고속
R8851수원터미널수원역ㆍ웃거리ㆍ목감동ㆍ신천동ㆍ만수동ㆍ인천시청ㆍ제물포역용현동 구 터미널20선진고속


4.5. 공항버스[편집]


전 노선 선진고속 운행.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
7000
7000A
N7000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역ㆍ시흥관광호텔ㆍ시화이마트ㆍ모아A인천국제공항15~30
7002안산터미널안산역ㆍ시흥관광호텔ㆍ시화이마트ㆍ모아Aㆍ시흥학습타운ㆍ소사역김포국제공항40~60


4.6. 폐선된 노선[편집]


안산시 버스 목록/폐선 문서 참조.


5. 통과 노선 운행사[편집]


정차 정류장이 없다면 아래 목록에 기재하지 말 것.

면허지경유 지역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수원안산시내9090서둔들공원수원역ㆍ웃거리ㆍ서수원터미널ㆍ상록수역ㆍ중앙역ㆍ안산시청안산역10~30성우운수
시흥20-1정왕역시화공단ㆍ안산역ㆍ원곡동ㆍ동명Aㆍ서울예대ㆍ월피동부곡중학교15~20시흥교통
21오이도한국공대ㆍ안산역ㆍ동명Aㆍ서울예대ㆍ일동ㆍ상록수역태영아파트15~25
23월곶역오이도역ㆍ시흥세무서ㆍ안산역ㆍ안산시청ㆍ일동ㆍ상록수역본오동8~12
97푸르지오6차고잔이마트ㆍ고잔역ㆍ동명Aㆍ선부중ㆍ화정동ㆍ시흥능곡역능곡동20~30
5602시화이마트거모동ㆍ군자동ㆍ능곡동ㆍ목감동ㆍ서해안고속도로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구로디지털역20~30
화성3102송산그린시티사동푸르지오6.7.9차ㆍ한양대ㆍ상록수역ㆍ의왕톨게이트ㆍ서초역ㆍ교대역강남역15~40경원여객
11[OUT화성]광교신도시상현역ㆍ광교중앙역ㆍ창룡문ㆍ팔달문ㆍ수원역ㆍ서수원터미널ㆍ상록수역ㆍ안산역원시역10~15남양여객
반월공단H130[17]원시역에코팜타운ㆍ대방노블랜드1차ㆍ금강펜테리움세영리첼25~60화성도시공사
팔곡동
반월동
330제부도입구서신ㆍ사강ㆍ마도ㆍ남양사거리ㆍ비봉ㆍ팔곡동ㆍ반월역ㆍ군포역금정역20~25제부여객
H340향남택지지구발안삼거리.바다마트ㆍ팔탄초교ㆍ비봉면ㆍ야목리ㆍ팔곡동반월역1일 4회화성도시공사
대부도1004-1탄도항칠곡리ㆍ사강ㆍ마도ㆍ남양사거리ㆍ비봉매송로ㆍ오목천동수원역1일 5회제부여객
H51전곡항어촌민속전시관 · 제부도입구 · 장외리 · 광평리 · 서신 · 백석백미리사랑방100~120화성도시공사
인천790수현마을모래내시장역ㆍ인천터미널ㆍ소래포구역ㆍ오이도역ㆍ시화방조제ㆍ대부도영흥도50~70부성여객


6. 차량[편집]


안산시·시흥시 시내버스/차량 문서 참조.

[1] 경기도에서 도착정보를 제공하는 노선만 표시하며, 안산시를 경유하거나 출발·도착하는 노선을 기재한다.[2] 기사 배치가 적은 노선에서는 기사의 건강 이상 등의 문제 발생 시 대체 인력이 없어 아예 한두 대가 운행에서 빠질 수밖에 없을 정도로 기사 문제가 심각하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한 달에 한번꼴로 발생한다는 것...[3] 1-1번 → 2번, 3-1번 → 3번으로 통합, 6-1번 → 6번[4] 2-1번, 7-1번[5] 두 번째 자리 기준으로 1(안산), 2(포동-신천), 3(능곡), 4(정왕-배곧-강남), 5(배곧-서울대), 6(정왕-배곧-광명/석수역)[휴] 주말/공휴일만 운행[6] 출퇴근시간대 한정[7] 실질적 기점[8] 구 70번[9] 화성도시공사 H130번과 공동배차[태] A B C D E F 태화상운 운행 노선[10] 평일 한정 반월역 출발 1회 운행[써] A B C 써클라인 운행 노선[11] 제부여객 공동배차[12] 구 1번[OUT] A B [13] 주말,공휴일 15분[14] 경기도에서 도착정보를 제공하는 노선만 표시하며, 안산시를 경유하거나 출발·도착하는 노선을 기재한다.[15] 이천행만 정차.[16] 하행만 정차.[OUT화성] 화성시 미경유 노선[17] 경원여객 13번과 공동배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01:22에 나무위키 안산시 버스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